詩 읽는 기쁨/흰바람벽이있어

두보(杜甫)나 이백(李白) 같이

문선정 2007. 7. 2. 12:15
두보(杜甫)나 이백(李白) 같이

                     
                    오늘은 정월(正月) 보름이다
                    대보름 명절인데
                    나는 멀리 고향을 나서 남의 나라 쓸쓸한 객고에 있는 신세
                  로다  
                    옛날 두보나 이백 같은 이 나라의 시인도
                    먼 타관에 나서 이 날을 맞은 일이 있었을 것이다
                    오늘 고향의 내집에 있는다면
                    새 옷을 입고 새 신도 신고 떡과 고기도 억병 먹고
                    일가 친척들과 서로 모여 즐거이 웃음으로 지날 것이였만
                    나는 오늘 때묻은 입든 옷에 마른 물고기 한 토막으로  
                    혼자 외로이 앉어 이것저것 쓸쓸한 생각을 하는 것이다
                    옛날 그 두보나 이백 같은 이 나라의 시인도
                    이날 이렇게 마른 물고기 한 토막으로 외로이 쓸쓸한 생각을  
                  한 적도 있었을 것이다
                    나는 이제 어느 먼 외진 거리에 한고향 사람의 조그마한 가업
                  집이 있는 것을 생각하고  
                    이 집에 가서 그 맛스러운 떡국이라고 한 그릇 사먹으리라 한다
                    우리네 조상들이 먼먼 옛날로부터 대대로 이 날엔 으레히 그러
                  하며 오듯이
                    먼 타관에 난 그 두보나 이백 같은 이 나라의 시인도
                  이 날은 그 어느 한고향 사람의 주막이나 반관(飯館)을 찾어
                  가서
                    그 조상들이 대대로 하든 본대로 원소(元宵)라는 떡을 입에
                  대며
                    스스로 마음을 느꾸어 위안하지 않았을 것인가
                    그러면서 이 마음이 맑은 옛 시인들은
                    먼 훗날 그들의 먼 훗자손들도
                    그들의 본을 따서 이날에는 원소를 먹을 것을
                    외로이 타관에 나서도 이 원소를 먹을 것을 생각하며
                    그들이 아득하니 슬펐을 듯이
                    나도 떡국을 놓고 아득하니 슬플 것이로다
                    아, 이 정월(正月) 대보름 명절인데  
                    거리에는 오독독이 탕탕 터지고 호궁(胡弓)소리 삘삘 높아서
                    내 쓸쓸한 마음엔 자꾸 이 나라의 옛 시인들이 그들의 쓸쓸한  
                  마음들이 생각난다
                    내 쓸쓸한 마음은 아마 두보나 이백같은  
                  사람들의 마음인지도 모를 것이다
                    아무려나 이것은 옛투의 쓸쓸한 마음이다

 


 

객고 : 객지에서 당하는 고생.
억병 : 술을 매우 많이 마시는 모양
맛스러운 : 맛이 없는
반관(飯館) : 음식점.
원소 : 원소절에 먹는 떡.
느꾸어 : 느꺼워. 그 무엇에 대한 느낌이 가슴에 사무쳐서 마음에 겨운
오독독 : 화약을 재어 점화하면 터지는 소리를 자꾸 내면서 불꽃과 함께 떨어지게 만든 것.
호궁 : 중국 전통 현악기의 한가지. 모양은 바이얼린과 비슷하며, 대나무로 만들어 뱀껍질을 입혔음.

'詩 읽는 기쁨 > 흰바람벽이있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석]전 별  (0) 2008.11.07
[백석]흰 바람 벽이 있어  (0) 2007.11.28
백석(白石) 의 시 연구  (0) 2007.07.25
백석이 사랑한 여인 "자야"  (0) 2007.07.17
[백석]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0) 2007.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