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시간의 窓 .../지상의 불꽃 -

현대의 茶德과 茶를 다루는 마음가짐

문선정 2009. 2. 4. 13:21

현대의 茶德과 茶를 다루는 마음가짐

 

1. 현대의 茶德

茶생활을 영위한다는 것은 마음의 위안을 받으며 덕을 쌓아 결국은 사람의 행복을 추구하기 위한 것이다

茶를 하는 긍정적인 일은 삶의 원초적 시원적인 것에 접근하는 것, 즉- 茶는 道에 접근하는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 茶의 德

  茶는 공경하는 머움울 겆개 하고, 예의롭게 하며, 수신에 도움을 주며, 아름다움을 알게 하며, 졸음을 방지하며 머리를 맑게 한다.

  마음의 기운을 안정시키며 전통문화를 계승하고 타인과 서로 화하하게 하며(동질감) 병을 치료하며, 각성작용과 기억력을 증진시키며

  학업에 도움을 주며 茶는 몸으로 마시는 것이 아니라 마음으로 마시는 것이다.

  茶를 마시는 것은 아름다운 습관을 기르며 어질고 현명한 인생을 살기 위함이다. 茶生活은 종합적인 삶의 질로 향상시키는 근본적 방법

  이며 결국 행복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질적인 방법이다.

 

※ 행복의 조건(詩經) : 수(오래 사는 것), 부(부유함), 강녕(건강함과 마음 편함),

                                   유호덕(자기를 지키는 낙으로 삼는 것), 종명(천수를 다 하는 것)

                                  

 

 

2. 茶道用心 / 茶를 다루는 마음가짐

茶플 행할 때의 멋있고 훌륭한 태도가 실생활에서 바른 자세로 똑같아야 함.

인간의 정신적 영역을 넓혀감에 절제와 겸손이 따라야 한다.

茶생활은 항심으로 꾸준히 함. 다도는 수련의 대상이다.

이를 반복수련하면 반드시 德을 쌓는 도의 경지에 도달하게 될 것이다.

왜냐면 사람의 생각은 말과 행동으로 나타난다. 언행의 반복은 습관이 되고

좋은 습관의 반복은 품성이 되며 품성이 쌓이면 德이 쌓이게 될것이기 때문이다.

茶는 온 몸의로 眼(차의 맑은 색, 꽃, 찻자리 장식)

                     耳(차 솥에 물 끓는 소리)

                     身(차도구를 다루는 몸의 감각)

                     意(德, 道, 정취)로 생활하는 것이다.

 

 

3. 茶의 정취

      ˚ 기분이 어수선하고 마음이 복잡할 때 따뜻한 茶 한 잔 만으로도 무겁던 마음을 가라앉히고 어지러웠던 마음을 진정시킬 수 있다.

     ˚ 차를 마시는 때

       마음과 손이 한적할 때, 책 읽기에 詩 읽기에 지쳤을 때 등.

 

 

4.修身

개개인에 직면한 현실에선 일상 생활을 절도와 질서로 규모있게 영위하는 예의범절은 큰 덕을 닦아 덕행을 이루어가는 방법이다.

茶는 우리 민족에게 예절 생활과 사색을 기르는 즐거움과 풍류의 멋을 가꾸게 해 왔다.

香을 하나 그윽히 사루며, 계절감 있는 꽃을 화병에 장식해 놓고 때로는 좋은 그림이나 글을 걸어놓고

또 그 앞에서 글을 읽거나 쓰기도 하고 그림을 그리고 음악을 들으며 고요히 앉아 명상에 잠기기도 한다.

茶生活이란 뜻은 매우 다양하게 이해 될 수 있으나 궁극적으로는 각성된 인간생활을 말하는 것으로 君子의 생활 (옛부터 차를 사랑하는 성현들이 '茶는 군자와 같아 그 성질에 악의가 없기 때문이다. 초외가 산천도인 김병희에게 보낸 詩)이라 할 수 있다.

茶生活은 일상적이고 평법한 체험을 통해 그 속에서 온전함을 자각하고, 각성의 생활을 터득하자는 것이다.

술은 우리의 의식을 몽롱하고 혼미하게 하는데 반해 茶는 두뇌를 맑게 해 주고 몸을 상쾌하게 해 준다.

현대의 물질주의 사회에서 각성된 인간의 생활을 자각하는 인격수양의 수단이 되는 茶生活은 종교와 인종을 초월하여 사회정의 확립에

중심이 되어 도덕적 가치관을 회복시킬 수 있는 중요한 가치관이다.

 

※ 진정한 茶人이란?

언제부터 茶생활을 하고 어느만큼의 茶를 마셨는가가 중요한게 아니라

茶는 수단으로서 인격의 수양에 어느만큼의 공헌을 하고 있는 것인가가 중요한 것이다.

문화의 시대에 부응하는 진정한 문화인(茶人)이라면 하나의 문화에 대하여 정확한 분별력을 가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