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 위의 세상 2/동두천 유적지

미륵불, 어유소장군 사당, 사폐지 경계석

문선정 2007. 10. 12. 19:26

탑동 석불(미륵불) :

 

이 석불은 미륵불이다.

즉, 미래불이라는 말이다.

석가모니 시대가 끝나면 다시 내세에 재림하여 이 땅에 오실 부처님이다.

 

부처의 종류는

석가모니, 아미타불, 약사불, 비로자나불, 대일여래불, 탄생불로 나누어 지고

그 아래 또 보살의 종류로 나뉘어 진다.

 

절마다,

석가모니를 모신 전은 대웅전이라 하며

약사불을 모신 전은 모든 병 든 중생을 구원하는 약사전이라 하며

비로자나불을 모신 전은, 비로전이라 불리운다.

그 밖의 부처상의 여러가지 손 모양으로도 불상의 종류를 나타낸다.

 

동두천시 장림에 위치하고 있는 이 미륵부처는 양 쪽 어깨를 칼로 도려낸 것처럼의 모습인데

일제 시대, 일본 정부가 우리의 정신문화를 말살하기 위하여 불상을 말살하기에 이르렀는데

이 때, 양 쪽 어깨부분이 잘려나간 것으로 추정 된다.

 

 

오늘 가장 재미있는 것을 알았다.

불상의 이마 가운데에 검은 점을 볼 수 있다.   

석가모니의 이마에 검은 점같기도 한 털이 곱슬하니 나 있었는데

멀리서 보면, 빛을 받으면 보석처럼 반짝여 보였다고도 한다.

 

민간요법의 의학에 의하면

이마에 점이 있는 사람은 대체적으로 위장이 약하다고 한다.

위에 이상이 있을 때는, 이마에 뾰루지 같은 것이 난다고도 한다.

사실, 석가모니도 무언가 음식을 잘 못 먹고 식중독으로 세상을 떠났다는데

이것도 위장에 탈이 나서 돌아가셨다고 할 수 있다.  

 

////////////////////////////////////////////////////////////////////////////////////////////

 

 어유소 장군의 사당이 굳게 잠겨져 있다.

 

바다에는 이순신 장군이 있고, 육지에는 어유소 장군이 있었으니...

 

//////////////////////////////////////////////////////////////////////////////////////////// 

 

 나는, 이 사폐지 경계석을 삐뚫게 보았다.

원래는 동두천시 생연동 생연초등학교 후문 근처에 자리하고 있었던 유적지를

소요산 자유수호 박물관에 옮겨놓았다는 것은, 이미 유적지로서의 의미가 사라졌다고 본다.

 

유적지 내 유물은 그 자리에 길이 보존되어야 그 유적지 값을 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평화 박물관과 어우러질만한 동상에 마음이 갔다.

 -벨기에 평화의 상징인 오줌 누는 소년 동상.